1. 서론
유럽 여행을 앞두고 현지에서 (1) 현금을 사용할지 (2) 카드를 사용할지 선택이 필요하다.
현금의 경우 한국에서 미리 환전을 하고 가지만 여행 중 도난의 위험성이 크며 필요한 액수를 정확히 판단하기 어렵다
카드의 경우 유럽 현지에서 사용 시 수수료가 붙거나 카드의 돈을 인출할 때 인출 수수료가 붙는다. 하지만 도난을 당해도 해지하면 되기 때문에 안전하며 필요한 액수를 그때그때 인출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현금과 카드 각각의 단점은 보완하고 장점을 극대화한 체크카드가 많이 출시되어 있다.
유럽 여행 중 어떤 체크카드를 이용하면 좋을지 각 카드의 장단점을 파악하고 발급하기 위한 선정을 해보도록 하자.
2. 본론
해외 여행용 카드를 선정하는 데 있어 중요시 해야하는 점은 나에게 필요한 혜택이며 아래와 같다.
- 해외 결제 수수료 혜택
- ATM 인출 수수료 혜택
- 연회비 무료 / 캐시백 / 할인 혜택
- 전월 실적 x
이 혜택 중 수수료 혜택은 눈여겨 봐야 한다.
가장 먼저 고려해야할 점은 'ATM 수수료 면제'의 개념이다.
해외 ATM 기기에서 현금 출금 시 수수료 면제라는 것은 '비자'나 '마스터', 그리고 국내 카드사 수수료가 면제된다는 뜻이다.
즉, 현지 ATM 기기 자체 수수료는 면제가 아니며 보통 5~8달러 수준이다.
따라서 수수료가 없는 ATM 기기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더불어 해외 여행 카드와 현금 환전 중 어느 것이 이득인지를 따져야 한다.
국내에서 현금으로 환전 시 2%의 수수료가 발생하는데, 50% 이상 우대를 받으면 1% 정도 수수료가 발생한다.
환전 우대율의 경우 은행마다 매매기준율과 수수료가 달라 우대율이 높다고 해서 무조건 수수료가 적은 것이 아니며,
각 은행별로 우대 수수료를 적용한 후 실제 발생한 수수료를 비교해야 한다.
이제 위의 혜택을 지닌 대표적 해외 여행 카드를 확인해보도록 하자.
2023년 6월 기준으로 가장 대표적인 카드로 (1) 트래블로그 (2) 트래블 월렛 (3) 하나 비바 (4) 토스뱅크 체크카드 를 선정했다.
(1) 트래블로그 (하나카드) | Master 카드
- 하나은행으로 연결된 마스터 카드 (하나은행 계좌로만 환전이 가능하다)
- 남은 돈을 다시 원화로 환전 시에 수수료가 5%
- 해외 ATM 출금 한도는 1회 1,000불, 하루 6,000불, 한 달 10,000불
- 사용 방법 :
하나은행 계좌로 한국 돈을 입금하면 하나머니 앱에서 현지통화로 환전하여 외화 하나머니 계좌로 옮긴다.
이후 해외에서 외화 하나머니 계좌에 있는 현지통화 잔액 내에서 사용하면 된다.
외화 하나머니 잔액이 부족하면 하나은행 계좌에 있는 돈을 환전하여 다시 채우면 된다.
-> 따라서 트래블 로그는 결제용 카드(Master)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2) 트래블월렛 | VIsa 카드
- ATM이 흔하지 않아 주로 결제용으로 사용
- 환율이 낮을 때 충전한 후 여행 시 이용하면 편리
- 해외 ATM 이용 수수료는 월 인출금액이 500불 이하인 경우 면제됨 (초과 시 2% 수수료)
- 해외 ATM 출금 한도는 1회 400불, 하루 1,000불, 한 달 2,000불
- 사용 방법 :
출금은행 계좌로 한국 돈을 입금하면 트래블월렛 앱에서 현지통화로 환전하여 트래블페이 계좌로 옮긴다.
이후 해외에서 트래블페이 계좌에 있는 현지 통화 잔액 내에서 사용하면 된다.
잔액이 부족하면 트래블 월렛 앱에서 필요한만큼 환전하면 된다.
-> 따라서 트래블 월렛은 인출용 카드(Visa)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3) 하나 VIVA X 체크카드 | Master 카드
- 해외 결제와 인출 시 마스터 수수료 1% 면제
- 즉, 해외 결제 시 1% 정도 수수료 발생하지만, 환전 우대받은 현금과 비슷하고 현금 인출은 50% 환전우대 정도의 혜택
- 사용 방법 :
환전을 본인이 할 필요가 없다.
해외에서 현지통화로 결제하면, 카드회사에서 자체적으로 한국계좌 금액을 자동 환전해 인출해간다.
이때 환전 수수료가 있기 때문에 비상용으로 사용한다.
-> 따라서 하나비바 체크카드는 비상용 카드(Master)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그 중에서도 ATM이 아닌 해외 결제용으로 사용해야 한다.
(4) 토스뱅크 체크카드 | Master 카드
- 해외 결제금액 2% 캐시백
- 해외 ATM 인출 수수료 3$ 면제
- 해외결제 캐시백 한도 없음
- 단, 마스터 수수료 1% 부과
- 사용 방법 :
환전을 본인이 할 필요가 없다.
해외에서 현지통화로 결제하면, 카드회사에서 자체적으로 한국계좌 금액을 자동 환전해 인출해간다.
이때 환전 수수료가 있기 때문에 비상용으로 사용한다.
-> 따라서 토스뱅크 체크카드는 비상용 카드(Master)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수수료가 붙기 때문에 가장 후순위이다.
위의 네 가지 해외여행용 카드의 특징을 정리한 표는 아래와 같다.
트래블로그 | 트래블월렛 | 하나비바X | 토스뱅크카드 | |
브랜드 | 마스터/유니온페이 | 비자 | 마스터 | 마스터 |
유형 | 충전식 선불카드 | 체크카드 | ||
해외결제 수수료 | x | x | x | 건당 0.5$ |
ATM 인출 수수료 | x | x | ||
ATM 인출 한도 | 일 6,000$ 월 10,000$ | 일 1,000$ 월 2,000$ | x | x |
환전 수수료 | x | x | 전 국가 통화 면제 | o |
캐시백 혜택 | x | x | x | 3% 캐시백 |
최소 충전 금액 | x | 50$ | x | x |
최대 충전 금액 | 약 180만원 | 약 180만원 | x | x |
지원 통화 | - 수수료 우대 4개 - 미국, 유럽, 영국, 일본, 중국, 싱가포르, 캐나다, 호주 | - 수수료 우대 3개 - 미국, 유럽, 영국, 일본, 중국, 싱가포르, 캐나다, 호주, 태국, 베트남, 필리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홍콩, 대만 | ||
환전 시기 | 미리 환전 o | 미리 환전 o | 결제 시 환율 적용 | 결제 시 환율 적용 |
발급비 | 2,000원 | x | ||
연동 계좌 | 하나은행 | 본인 계좌 | ||
환급 수수료 | 1.01% (이벤트 기간만, 나머지는 5%) | 1% | ||
비고 | 사용액의 0% 수수료, MRT TE라인 x | 사용액의 0.7% 수수료 MRT/버스 이용 가능 | 3% 캐시백 |
3. 결론
해외 여행용 체크카드의 장단점을 비교해본 결과,
메인으로 사용하기 좋은 카드는 트래블로그(결제용), 트래블 월렛(인출용)이며
비상용으로 비바플러스 체크카드(결제용), 토스 체크카드를 소지하면 좋다.
실제 해외 여행 카드 후기 중 트래블 월렛과 같이 특정 카드만 가져갔다가 사용이 불가해 낭패를 보는 경우가 빈번했다.
따라서 어느 한 카드만 발급 받아 가져가는 것이 아닌, 후순위 용도인 세컨 카드를 반드시 챙겨가야 하며
Master, Visa 각각의 카드를 준비하는 것이 좋다.
'# Money > Produc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용카드] 국민 알뜰교통플러스 신용카드 혜택 정리 (사회 초년생 소비 관리, 카드 혜택, 카드 발급, 국민카드) (0) | 2024.01.07 |
---|---|
[신용카드] 국민 위시 카드 혜택 정리 (사회 초년생 소비 관리, 카드 혜택, 카드 발급, 국민카드) (1) | 2023.05.11 |
[신용카드] 네이버 현대카드 혜택 정리 (사회 초년생 소비 관리, 카드 혜택, 카드 발급, 현대카드) (0) | 2023.05.08 |
[체크카드] 국민 노리2 체크카드 혜택 정리 (사회 초년생 소비 관리, 카드 혜택, 카드 발급, 국민카드) (0) | 2023.04.28 |
[체크카드] 우리 알뜰교통 카드 혜택 정리 (사회 초년생 소비 관리, 카드 혜택, 카드 발급, 우리카드) (0) | 2023.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