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oney/Study

[Money] 통장을 합리적으로 쪼개는 방법 (통장 쪼개기 / 소비 통제 / 사회 초년생 소비 관리하기)

im-jamie 2023. 4. 25. 00:04

1. 왜 통장을 쪼개야 하는가

쪼개진 통장을 통해 알아서 돈 관리가 되는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서 통장을 쪼개야 한다. (소비 통제가 된다면 통장을 쪼갤 필요가 없다.)

쓰고 남은 돈을 저축하는 것이 아니라, 저축 먼저 하고 소비하기 위해 습관을 들여야 한다. 쪼개진 통장은 자연스럽게 저축과 소비를 분리시켜 올바른 소비 관리를 도와준다.


2. 어떻게 통장을 쪼개야 하는가 | 다섯 가지 통장

월급 통장 비상금 통장 생활비 통장 투자 통장(선택)
월급 통장 비상금 통장 고정비 통장 변동비 통장 투자 통장(선택)

 

첫째, 월급 통장과 생활비 통장은 꼭 분리해야 한다.

월급이 들어왔을 때 그 통장에서 모든 돈을 사용하면 나중에 나갈 고정지출이나 저축할 돈을 생활비로 써버릴 수 있다. 월급이 들어오면 생활비만큼만 생활비 통장으로 이체를 해놓고 그 통장에 체크카드를 연결해서 써야 나머지 돈을 저축하거나 투자할 수 있다.

 

둘째, 생활비 통장을 고정비 통장과 변동비 통장으로 분리하면 좋다.

생활비 통장 안에서 고정 지출과 변동 지출을 모두 다 사용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만약 그럴 경우 매달 다른 날짜에 나가는 고정 지출이 있다면 그 이전에 모두 다 써버릴 수가 있다.

 

셋째, 투자 통장의 경우 선택형이다.

매달 다른 상품에 투자하는 걸 좋아하거나 주식을 하는 경우 매달 일정한 금액을 투자하는 연습을 해야하기 때문에 투자 통장 안에서 적금, 펀드, 주식 등으로 이체되도록 해야 한다. (하지만 나는 일정한 금액이 나가는 예적금, 펀드만 하고 있기 때문에 굳이 만들 필요가 없다. )


3. 쪼갠 통장은 언제 사용해야 하는가

첫째, 월급 통장 

월급 통장의 용도는 월급 수령과 송금이다. 월급이 입금되자마자 적금, 투자 통장, 생활비 통장 등 각 통장에 돈을 보낸다.

월급 통장에서 고정비를 같이 관리하면 얼마나 빠져나갔는지 알기 어렵다. 따라서 월급 통장과 고정비 통장을 분리해야 한다.

 

둘째, 비상금 통장 (파킹 통장)

여행, 이벤트 등 비정기 지출을 보관하기 위한 용도이며 적금 해지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이다. 당장 쓰지 않는 돈이며 월 소득의 100% 미만이다.

매번 돈이 들어갔다 나가니 매일 이자를 주는 파킹 통장이며 증권사의 CMA 통장, 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 등이 있다. (입출금이 자유롭고 이자를 주는 통장이다. 따로 포스팅 예정)

월 생활비 세 배 이상을 모으고 넘어가는 돈은 저축이나 투자에 넣는다.

 

셋째, 고정비 통장

고정지출의 3개월 치 현금을 잔액으로 예비 자금을 보관한다. 고정 지출 (월세, 대출금, 보험비, 통신비 등)  결제일은 월급일 +5일 이내로 설정한다.

고정 비용을 통장에 스쳐 지나가게 하기 위해서다. 현금을 통장에 그대로 가지고 있으면 그 돈을 쓰려는 마음이 들기 때문에 월급날 근처로 몰아넣는다. 만약 월급날이 25일이면 25~30일에 다 빠져나가게 한다.

 

넷째, 변동비 통장

변동비는 평월 소비 예산을 보관하는 용도이다. 매달 목표한 예산을 넣어두고 체크카드와 연동해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생활비인 식비, 생활용품, 교통, 구독, 의료 등이 있으며 체크 카드를 주로 사용한다. 또한, 지역 화폐를 사용해 10%의 포인트도 같이 사용하자.

마음에 따라 줄일 수 있는 지출이며 얼마나 잘 관리하느냐에 따라 저축률이 좌우가 되기에 가장 신경 써야 한다. 내가 의식해서 써야 아낄 수 있다. 잉여자금은 저축하거나 비상금 통장에 넣을 수 있다.

 

기타, 경조사비 통장

매달 10만원 ~ 30만원 사이를 넣는다. 생일 등 경조사에 대한 부담이 줄어든다.


4. NEXT

 

변동 지출 활용하기 | 경조, 여행 통장 분리하기

현명한 소비하기 | 행복 비용 만들기

소비 사이클 만들기 | 통장 쪼개기 점검과 후기